article_right_top
지난 7월 11일, 정부가 강원과 경북의 극심한 가뭄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하게 ‘범정부 합동 가뭄TF 대책 회의’를 열었다. 회의는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기상청, 강원특별자치도, 경상북도 등이 한자리에 모여 대응책을 논의한 자리였다.
올해 1월부터 7월 10일까지의 강수량을 보면 상황은 심각하다. 먼저 ▲경북 청도: 390mm(평년 대비 70.5%) ▲강원 강릉: 235mm(평년 대비 45.2%) 둥이다. 저수지 상황도 심각하다. ▲강릉 오봉저수지: 29.7% ▲운문댐(대구·경북 6개 시군 공급): 38.1% 등이다. 이에 따라, 강릉을 포함한 강원 일부 지역과, 대구·달성·영천·경산·청도·칠곡 등 경북지역은 현재 생활·공업용수 가뭄 ‘주의’ 단계로 공식 분류됐다. 기상청은 “향후 당분간 해갈 수준의 비가 내릴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하면서, 비상대응 필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댐·저수지 상황 점검 ▴대체 용수 확보 방안 ▴절수 및 용수 감량 방안 ▴타 지자체 간 협력 등 분야별 용수 확보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예를 들면, 생활용수는 단수 없이 공급되도록 절수 캠페인과 지하수 개발이, 농업용수는 저수지 물 이동과 급수차 활용이 검토되며, 공업용수는 산업단지별 감량 권고가 포함된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앞으로 매주 ‘관계기관 가뭄 TF 회의’를 열어 대책 이행과 가뭄 진행 상황을 실시간 점검하기로 했다.
오병권 자연재난실장은 “가뭄으로 인한 국민 불편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가뭄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정직기자
이정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