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서울시가 화재로 인한 아동 사망 사고가 잇따라 발생한 노후 아파트 화재안전 공백을 뿌리 뽑기 위해 전면 대책을 가동한다. 특히 스프링클러 미설치 아파트 2,479단지를 대상으로 전수조사와 소방시설 보완, 소방안전교육까지 입체적 대응체계를 구축해 화재 사각지대를 제거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본부장 권혁민)는 7월 14일, ‘노후 아파트 화재안전 강화대책’을 발표하고, 취약계층 보호 및 인명피해 예방을 위한 집중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여기서 말하는 ‘노후 아파트’는 준공 후 20년이 경과했고,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단지를 의미하며, 서울 전역에 걸쳐 총 2,479단지 11,262동이 이에 해당된다. 최근 이 같은 노후 아파트에서 어린이 사망을 포함한 중대 화재사고가 반복 발생하면서, 서울시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전면적인 안전강화 조치를 단행하기로 했다.
우선 시는 소방, 자치구, 전기·가스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8월 말까지 2,479단지 전체 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누전, 노후 배선, 가연성 구조물 등 잠재적 위험 요소를 선제 차단한다. 화재에 취약한 아동·한부모 가정 등 1,300세대를 선정해 단독경보형 감지기, 주방자동소화장치 등 필수 소방시설을 무상 보급하고,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협력해 영구임대아파트 220,618세대에 콘센트형 자동소화패치를 연내 보급한다. 노후 아파트 인근 초등학교 502개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여름방학 전까지 소방안전교육을 실시하며, 입주민과 자치구·소방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화재대응 훈련도 병행해 실제 화재 발생 시 대응 역량을 끌어올릴 방침이다.
현행 소방법상 의무 대상이 아닌 오래된 아파트 단지는 스프링클러 설치가 제외돼 있어,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이 불가능한 구조다. 이에 서울시는 단독경보형 감지기 및 주방자동소화장치 설치를 공공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도 함께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권혁민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은 “스프링클러 하나 없는 노후 아파트에서 아이가 목숨을 잃는 일은 더 이상 있어선 안 된다”며, “이번 대책은 단순한 점검이 아니라, 생명을 지키기 위한 전면적 혁신”이라고 밝혔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