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2030년 돼지열병 '청정국' 선언 농식품부, 5천억 피해 '소모성 질병'도 해결한다

기사승인 2025.11.06  00:16:47

공유
default_news_ad1
article_right_top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가 2030년까지 돼지열병(CSF) 청정국 지위 획득과 더불어, 양돈산업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연간 약 5,000억 원)를 입히는 돼지소모성질병(PED, PRRS) 발생을 최소화하는 강력한 방역 관리 강화 대책을 발표하며 양돈산업의 일대 변혁을 예고했다. 민관학 합동으로 마련된 이번 대책은 현장의 의견을 적극 반영했으며, 민간 주도, 정부 지원을 원칙으로 추진된다.

국내에서 2017년 이후 발생이 없는 돼지열병은 백신 항체 양성률이 95% 이상으로 청정화 여건이 성숙한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2030년 청정화 달성을 목표로 4단계 로드맵을 추진한다. 먼저 1단계는 청정화 기반 구축 (2025~2027년)으로 2026년부터 기존 백신을 대신해 자연 감염 개체와 백신 접종 개체를 구분할 수 있는 신형 마커백신을 전국 농가에 공급한다. 이는 접종 스트레스 감소를 통해 농가 생산성 향상(연간 약 3,464억 원 절감 예상) 효과도 기대된다. 정밀 검사 확대를 통해 감염 농장 색출을 위해 연간 25만 건 이상의 정밀 검사를 실시한다. 야생 멧돼지 관리 강화: 접경지역 중심으로 미끼예방약 살포 및 모니터링 검사를 확대하여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한다.

2단계는 청정화 확인 (2028년~2029년 상반기)으로 전국 단위로 항체 진단법을 전면 시행해 자연 감염축과 백신 접종축을 감별하고, 돼지열병 발생 위험도를 평가해 백신 접종 중단 여부를 결정한다. 3단계는 청정화 달성 (2029년 하반기~2030년)으로 예방접종 중단 결정 시 전국 백신 공급 및 접종을 금지하고, 지방정부별 특별 방역관리를 거쳐 세계동물보건기구(WOAH)로부터 청정국 지위 인증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주도는 2029년까지 지역단위 청정화 추진), 4단계는 청정화 유지 (2031년 이후)로 백신 비축, 농장 모니터링, 야생 멧돼지 관리, 국경검역 등 대비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또 PED(돼지유행성설사병)와 PRRS(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등 돼지 소모성 질병은 양돈 농가의 생산성 저하와 경제적 피해의 주원인으로, 현재 체계적인 방역 관리가 시급하다. 농식품부는 질병 발생 최소화를 목표로 5가지 주요 과제를 추진한다. 질병 진단 및 정보 공유 강화를 통해 정부 모니터링 검사 외에 농가 자체 검사서를 제출받아 전국 질병 발생 현황을 지도화하여 농가에 제공한다. 또한, 도축장과 축산 차량 등 고위험 경로에 바이러스 환경검사를 도입한다.

올바른 백신 접종 환경 조성으로 농가별 디지털 백신 접종 이력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백신 운용 전문가위원회를 도입하여 농가 지도 교육을 강화한다. 고위험 요인 방역 체계 개선으로 축산 차량에 대한 세척·소독 검사제를 도입하고, 양돈농장 모든 구역을 오염·완충·청정구역(빨강, 노랑, 초록)으로 구분하여 동일 색깔 장화를 착용하는 '3색 방역 캠페인'을 추진한다. ICT·AI 기반 방역 관리로 돼지의 움직임, 호흡기 소리 등 행동 패턴을 AI로 분석하는 '질병 징후 조기 감지 시스템' 도입을 확대한다. 민간 주도 자율 방역 추진으로 생산자단체 중심의 '민간 자율방역 조사연구단'을 구성하여 질병 발생 및 역학 분석 정보를 농가에 제공, 지역별·농가별 청정화 추진에 활용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김정욱 농업혁신정책실장은 “돼지열병 청정화와 소모성 질병 최소화 목표 달성 시 돼지고기 수출 기반 확보 등 양돈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농가의 자율방역 실천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정직기자

이정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set_hot_S1N1
set_hot_S1N2
set_hot_S1N3
set_hot_S1N4
set_hot_S1N7
set_hot_S1N5
set_hot_S1N6
set_hot_S1N8
set_hot_S1N10
set_hot_S1N11
set_hot_S1N12
set_hot_S1N13
set_hot_S1N14
set_hot_S1N16
set_hot_S1N15
set_hot_S1N17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