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리튬이온배터리 안전 문제가 대학 연구실까지 번지면서 비상이 걸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이 사태를 계기로 전국 주요 대학 연구실 270여 개를 대상으로 UPS(무정전 전원장치) 배터리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대대적인 전수조사 및 현장점검을 추진한다고 10월 3일 밝혔다.
국가 핵심 정보시스템을 마비시킨 화재가 정전 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인 UPS 배터리의 문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면서 , 연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해당 장비의 화재 위험에 대한 우려가 급증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전국 270여 개 대학 연구실을 대상으로 10월 24일까지 UPS 배터리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조사 내용은 각 대학이 연구실 내에서 사용하는 UPS 배터리 종류(납축전지·리튬이온배터리 등)를 확인하고, 사용 기간 경과 여부 및 외관 손상 등 이상 유무를 자체 점검한 후 그 결과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과기정통부는 점검 과정에서 노후되었거나 이상 징후가 발견된 배터리에 대해서는 즉시 교체하도록 지시할 예정이다.
자체 실태조사만으로는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자, 과기정통부는 추가적인 현장점검까지 예고했다.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배터리 관리 실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기관이나, 자체적으로 이상 배터리를 교체·조치하지 못한 기관을 중심으로 11월까지 현장점검이 추가 실시된다. 현장점검에서는 UPS와 배터리의 관리 실태, 교체 주기 준수 여부, 보관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여 사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는 데 방침을 둘 계획이다.
홍순정 미래인재정책국장은 "배터리는 연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관리가 소홀할 경우 화재 등 중대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번 조사를 통해 연구실 화재 사고 위험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고 안전 관리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