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고요했던 한반도에 또다시 지진 공포가 엄습했다. 지난 10월 8일 오전 11시 49분, 충북 옥천군 동쪽 17km 지역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동이 느껴지면서 국민들의 시선은 즉각 국내 원자력 시설의 안전 상태로 쏠렸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국내 모든 원자로 시설의 안전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긴급 대응에 나섰으나, 가장 가까운 연구용 원자로에서 지진 경보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이번 지진의 진앙지에서 가장 가까운 원자력 시설은 약 39km 떨어진 대전의 하나로(연구용 원자로)였다. 원안위에 따르면, 하나로 시설에서 측정된 지진계측값은 0.0119g로 확인되었다. 이는 하나로의 내진설계값인 0.2g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 시설 안전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공식 확인되었다. 원안위 대전지역사무소는 즉시 현장 안전 점검을 수행했으며,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현재 하나로는 8월 25일부터 정기 검사를 위해 원자로 가동이 정지된 상태다.
다른 원전 시설 역시 안전한 것으로 파악됐다. 원전 중에서는 한빛 원전에서 최대 0.0043g의 지진 계측값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내진설계값 0.2g 미만으로 안전에는 이상이 없는 수준이다. 문제는 안전 '시스템'의 작동 여부다. 원안위의 발표에 따르면, 하나로의 지진계측값(0.0119g)은 내부 지진 경보 설정값인 0.0067g보다 높게 측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지진 경보는 울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진 발생 시 시설 운영자에게 즉각적인 대응을 알리는 경보 시스템이 핵심 상황에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한 것을 의미하며, 만약 가동 중인 원자로였다면 중대한 위기 상황을 초래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심각한 결함으로 지적된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경보가 작동하지 않은 원인 등에 대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전문가를 파견하여 철저한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아무리 건물의 구조적 안전이 확인되었다 하더라도, 국가 중요 시설의 재난 대응 시스템이 설정값 오류로 제때 작동하지 않은 이번 사태에 대한 투명하고 책임 있는 조치가 요구되고 있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