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 이하 '기후부')는 10월 30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대한상하수도학회와 공동으로 '수돗물 과불화화합물 대응 전략 포럼'을 개최하고, 과불화화합물(PFAS)에 대한 수돗물 수질기준을 2028년까지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는 선진국의 관리 강화 추세 와 국내의 지속적인 관리 강화 요구 를 반영한 새 정부 국정과제 이행의 일환이다.
과불화화합물은 탄소와 불소의 강한 결합으로 이루어진 인공합성 화학물질로, 자연적으로 잘 분해되지 않아 '죽지 않은 좀비 화학물질'로 불리며 , 인체에 축적될 경우 건강상 문제를 야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2018년 낙동강 정수장 검출 이후 먹는물 수질감시기준(PFOA 70ng/L 등)을 설정하여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아직 기준 초과 사례는 없다. 그러나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들이 수돗물 수질기준을 강화하는 추세에 맞춰, 정부는 선제적 관리 강화에 나선다. 주요 이행 계획은 먼저 수돗물 모니터링 대상을 대규모 정수장(101개)에서 전국 모든 정수장(427개)으로 4배 이상 확대한다.
또 국립환경과학원은 과불화화합물의 분석법을 현재 5ng/L에서 1ng/L까지 분석할 수 있도록 고도화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독성 참고값 등을 고려하여 과불화화합물 인체 위해성 평가도 추진할 계획이다. 수질기준 강화에 맞춰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처리 기술 확보도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활성탄 처리기술 고도화, 하이브리드 멤브레인 기술, 고효율 흡착소재, 그리고 전기화학, 플라즈마 등 실효적인 제거 기술 개발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이에 기후부는 ‘상수도 과불화화합물 대응 기술개발’ R&D 사업을 2026년 예산안에 신규 편성(37억 원) 하고, 2030년까지 총 384억 원을 국비 지원할 계획이다.
권지향 대한상하수도학회장은 "수질기준 강화 계획은 국민의 안전을 목표로 하지만, 선진 정수처리기술이 수반되어야 하고 현장의 여건도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라고 밝히며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에 환영 의사를 표명했다. 기후부 김효정 물이용정책관은 "사전 예방에 초점을 둔 정책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정책 거버넌스를 통해 실효성 있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정부는 지속적인 협의의 장을 마련하고 기술개발 성과를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