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떨어짐, 부딪힘, 끼임' 등 후진국형 사고로 분류되는 재래형 중대재해가 끝없이 반복되면서, 산업현장에 드리운 '죽음의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다. 중대재해 감축을 위해 고용노동부가 비상 체제에 돌입했다. 고용노동부(장관 김영훈)는 지난 20일 산업안전보건본부에서 안전보건 감독국장 주재로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재해 감축을 위한 모든 행정력 집중을 선언했다.
이번 회의는 재래형 중대재해의 지속적인 발생을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는 판단하에 마련되었다. 이날 회의에는 전국 48개 지방노동관서의 산재 예방지도과장, 건설산재지도과장, 광역중대재해수사과장 등 산업안전 관련 핵심 부서장이 총집결했다. 오영민 안전보건 감독국장은 "안전관리 시스템 미흡 등으로 인한 재래형 사고가 반복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며, 각 지방관서의 중대재해 감축 노력과 향후 계획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사실상 현장에서 사고를 막지 못한 데 대한 강력한 경고와 함께 연말까지 초강경 대응을 주문한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재래형 중대재해를 효과적으로 감축하기 위해 연말까지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매주 「중대재해 감축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며 안전한 일터 프로젝트 및 지역별 기획·특별감독 진행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현장에서는 더욱 강력한 감독이 예고되었다. 먼저 집중점검주간 운영, 시기별 사고 발생 위험을 고려한 '집중 점검 주간'을 운영한다. 재래형 사고 위험이 높은 세부 업종을 타겟으로 하는 감독을 실시해 사고의 싹을 완전히 잘라내겠다는 의지다.
또한, 행정력이 미치기 어려운 사각지대까지 산재 예방을 확대하기 위해 민간재해예방기관, 안전보건공단, 자치단체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안전교육 및 대국민 홍보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오 국장은 "연말까지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여 사고 감축에 최선을 다할 것을 다시 한번 강하게 독려했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