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어선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집중되는 위험천만한 시기(10월~이듬해 3월)가 다시 돌아왔다. 낮은 수온과 불안정한 해양기상으로 악명 높은 이 기간은 최근 5년간(’20~’24) 5명 이상 인명피해가 발생한 모든 어선사고가 일어난 '죽음의 계절'이다.
이에 정부가 비상 대응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지난 10월 20일(월) '어선 안전관리 강화 대책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인명피해를 막기 위한 강도 높은 대책을 점검했다. 중앙부처(행안부, 해수부, 국방부, 해경청, 소방청, 기상청)와 지자체, 공공기관(수협, KOMSA)까지 총출동하여 어선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논의했으며, 특히 10월 19일부터 의무화된 '2인 이하 어선 승선원 구명조끼 착용' 문화 정착 방안에 집중했다. 각 기관은 취약 시기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전방위적인 대비 태세에 들어갔다. 행정안전부는 관계기관 합동 대응 훈련을 11월 말에 실시하여 선박사고 대응 역량을 높인다. 또한, 어선원 구명조끼 착용을 독려하기 위해 홍보영상을 제작, 전국 편의점(CU)과 수협 위판장 전광판, 재난방송(DITS)을 통해 송출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사고 취약 해역에 어업지도선을 집중 배치하고, 어선안전감독관의 현장 지도·점검을 강화한다. 아울러, 2025년까지 구명조끼 보급 한시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구명조끼 착용 챌린지', '사진 공모전' 등 홍보 활동도 병행하여 착용 문화 정착에 힘쓴다. 해양경찰청는 민·관 합동 수난 대비 기본훈련을 실시하며, 사고 다발 해역 감시 및 경비함정 전진 배치 등 긴급구조 대비·대응체계를 강화한다. 국방부는 사고 발생 시 실종자 탐색 및 조난 구조를 위한 군 전력 대비 태세를 점검하며, 소방청은 응급의료 헬기 신속 대응과 육상 구급차와의 인계점 확보 등 피해자 응급처치·이송에 총력을 기울인다. 지방자치단체는 어선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어업인 대상 안내 문자 및 마을 방송을 통해 구명조끼 착용을 적극적으로 독려한다.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부는 어선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고 대응체계를 꼼꼼히 점검하고, 조업 시 구명조끼를 착용하는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렇듯 관계기관이 사고 대응과 안전 문화 정착에 힘을 쏟는 가운데, 어업인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인명피해를 줄이는 핵심 관건이 될 전망이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