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집중호우로 인해 풍수해 위기경보 수준이 ‘심각’ 단계로 격상된 가운데,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이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모기매개 감염병, 접촉성 감염병 등에 대한 유행 가능성을 경고하고 전국 지자체에 감염병 예방 활동 강화를 요청했다. 이번 조치는 7월 17일자로 시행됐으며, 감염병 예방 홍보, 발생 감시 강화, 모기 및 설치류 매개 감염병 차단을 위한 방제작업 등이 포함됐다.
폭우로 인한 하수관 범람, 정전 등에 따라 오염된 물과 음식 섭취로 발생하는 장관감염증, A형 간염,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 등이 우려된다. 질병청은 ▲조리 전·후 손씻기(비누로 30초 이상), ▲포장 생수 또는 끓인 물 사용, ▲익힌 음식 섭취, ▲장시간 상온 노출 음식 폐기 등 위생 수칙 준수를 강조했다. 특히 손에 상처가 있는 경우에는 식재료 취급에 참여하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된다. 호우 이후 형성된 물웅덩이, 막힌 배수로, 저지대는 말라리아 및 일본뇌염 매개 모기의 서식지로 변할 수 있어 철저한 방제가 필요하다. 질병청은 ▲고인 물 제거, ▲야간(오후 10시새벽 4시) 외출 자제, ▲모기기피제 사용(34시간 간격), ▲방충망 점검 등을 권고했다.
수해지역에서 오염된 물에 직접 접촉할 경우 접촉성 피부염, 렙토스피라증, 유행성각결막염 등 감염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렙토스피라증은 설치류나 가축의 배설물이 섞인 물 또는 흙이 피부 상처를 통해 감염될 수 있어 침수지역 작업 시 주의가 필요하다. 작업자는 ▲방수복, 장화, 고무장갑 착용 등 피부 노출 최소화, ▲작업 종료 후 깨끗한 세척, ▲피부 상처 보호 등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안과 감염병의 경우 6월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지만, 고온다습한 기후에 따라 아데노 바이러스 생존률이 높아져 유행 재확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풍수해 이후 환경이 감염병 확산에 매우 취약한 상태로 전환된다”며 “수해지역 주민과 복구 인력 모두 예방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정직기자
이정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