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기온이 가파르게 오르며 전국이 사실상 '찜통'으로 변해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7월 1일 긴급 폭염 대응 점검회의를 열고 범부처 총력 대응에 들어갔다. 행정안전부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상청, 소방청, 질병청, 국토부, 고용부 등 17개 부처 및 시·도와 함께 긴급회의를 주재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당분간 전국 대부분 지역의 최고 체감온도가 33도 내외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일부 지역은 열대야까지 겹쳐 밤낮없이 불쾌지수가 치솟을 전망이다. 이미 폭염특보는 지난 27일 65개 구역에서 30일 145개 구역으로 확산되며, 주말을 기점으로 전국적인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6월 30일 자로 폭염 위기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격상하고, 각 부처별 대응체계 강화에 착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온열질환자 급증에 따른 인명피해 최소화 방안이 중점 논의됐다.
정부는 특히 노인, 농업인, 실외작업 근로자 등 민감군에 대한 보호조치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 실외 체육행사, 농작업 현장, 고령자 거주지역 등에서는 즉각적인 예방조치를 시행하며, 기상정보와 국민행동요령을 실시간으로 안내한다는 방침이다. 인프라 차원의 대응도 강화된다. 전력 공급 차질, 도로·철도 등 기반시설 이상 징후에 대해 사전 진단과 긴급 복구 체계를 가동한다. 전력 사용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에너지 당국과의 공조도 확대될 예정이다.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부는 폭염으로 인한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관계기관과 함께 가용 자원을 최대한 동원해 총력 대응하겠다”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무더운 시간대 야외 활동을 자제해 주시고,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등 국민행동요령을 적극 실천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정직기자
이정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