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서울시가 긴급 방역 체제로 전환했다. 13일 서대문구에서 발견된 야생 큰기러기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5N1형)가 18일 최종 확진되면서, 서울시는 즉각 해당 지역과 주변 서식지에 대한 차단·소독·예찰을 강화했다.
서울시는 매년 10월부터 2월까지 특별방역대책기간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 10월 27일 전국 AI 위기단계가 ‘심각’으로 격상된 이후 가축방역 상황실을 방역대책본부로 격상, 자치구와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해왔다. 문제가 된 큰기러기는 시민 신고로 구조돼 서울시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서 치료 중 신경증상을 보이다 폐사했다. 이후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의 정밀 검사에서 15일 H5 항원이 확인됐고, 18일 고병원성 AI로 최종 확진됐다.
서울시는 즉시 검출 지점 소독과 차단구역 설정, 주변 서식지 예찰 및 통제를 강화했으며, 반경 10km를 ‘야생조수류 예찰지역’으로 지정했다. 예찰지역 내 사육 가금류는 이동 제한 명령이 내려졌고, 이동 제한은 시료 채취 후 21일간 이상이 없을 경우 해제된다. 예찰지역에는 서대문, 마포, 용산, 은평, 종로, 강남 등 서울 대부분 지역이 포함된다. 또한 시민 안전을 위해 폐사체 접촉자에 대한 능동감시가 시행되고, 반경 10km 내에서의 탐조활동, 생태교육, 행사 등도 중단 또는 연기됐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서울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인된 것은 2년 10개월 만으로, 즉시 예찰지역을 설정하고 방역을 강화했다”며, “국내에서 AI의 인체감염 사례는 없지만, 철새 도래지 방문과 야생조류 접촉은 피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