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깊어가는 늦가을,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전국적으로 산불 발생 위험이 급격히 고조되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 산림재난예측·분석센터는 현재 전국 대부분 지역이 '다소높음' 단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곧 '높음' 단계로 진입하는 지역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불씨 관리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의 분석 결과는 이러한 우려를 뒷받침합니다. 최근 5년간 11월 통계에 따르면 산불위험지수가 '다소높음' 단계일 때 하루 평균 1.2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위험지수가 '높음' 단계로 올라서면 하루 평균 3건의 산불이 발생하며, 이는 '다소높음' 단계보다 무려 2.5배나 많은 수치다. 강우가 없는 건조한 날씨가 길어질수록 산불 위험은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가 3일간 내리지 않은 경우 일평균 산불 발생 건수는 1.5건이며, 5일간 내리지 않으면 2.3건으로 증가한다. 특히, 가장 오래 지속된 13일 무강우 기간에는 일평균 3.2건의 산불이 발생하여, 11월 전체 일평균 산불 발생 건수(0.86건)보다 약 3.7배나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또한, 가을철 평균 습도가 30~50%일 때 일평균 3.2건의 산불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는데, 실제로 올해 11월 10일 산불조심기간 중 6건의 산불이 발생했을 당시 전국 평균 습도는 45%였다.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주말까지 비 소식 없이 맑고 건조한 날씨가 예측되어 산불 발생 위험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원명수 과장은 "건조한 날씨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동안 입산통제구역 출입을 삼가고 불법 소각을 엄금하는 등 국민들의 적극적인 산불 예방 활동 동참을 바란다"고 강력히 당부했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