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책상 앞의 행정직부터 현장 단속 공무원까지, 공직사회 전반에 숨은 ‘보이지 않는 위험’이 드러났다. 인사혁신처가 공무원 직무별 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첫 재해예방 가이드를 내년 초 발간한다. 이번 연구는 그간 소방·경찰 등 일부 고위험 직군에만 국한되던 재해 분석을 130만 명에 달하는 전체 공무원(군인·선출직 제외)으로 확대한 첫 사례다.
최근 5년간 재해보상 심의 승인 사례 3만 1,947건을 분석한 결과, 공직 내 직무를 기능 중심으로 대분류 22개, 중분류 80개, 세부 167개로 구분하고, 여기에 노출되는 70개 세부 위험요인을 도출했다 위험요인은 사회·심리적, 조직적, 인간공학적,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등 6개 분야로 나뉘었다. 예를 들어 ▲폭언·갈등·업무긴장(심리) ▲과중한 업무와 인력 부족(조직) ▲장시간 고정자세나 반복동작(인간공학) ▲낙상·추락 등 이동 중 사고(물리) ▲미세먼지·유해물질 노출(화학) ▲바이러스·세균 감염(생물) 등이 대표적이다.
설문조사(3만 7,784명) 결과도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응답자의 61.8%가 ‘장시간 고정된 자세로 근무’, 47.4%가 ‘대민업무 스트레스’를 고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업무 속도 압박(41.8%), 불안(37.3%), 시간압박(34.3%) 등 정신적 요인도 두드러졌다. 반면, 화학적·생물학적 위험은 5% 미만으로 낮게 나타나 직무 특성에 따라 위험 패턴이 크게 다름이 드러났다. 분석 결과, 대민행정·사법절차·수사·조사·현장점검·단속 직무군이 특히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 이는 단순한 ‘육체노동 중심’ 위험 인식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현대 행정환경에서 정신적·조직적 부담 역시 명백한 재해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인사혁신처 김정연 재해보상정책관은 “직무별 위험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 초 ‘재해예방 길잡이’를 제작해 공무원 건강과 안전정책의 근간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 자료가 단순한 연구서가 아니라, 실질적인 안전지침으로 기능하도록 후속 관리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