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치명적인 가축전염병인 구제역(FMD)의 현장 진단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K-반도체 기반 분자 진단키트'가 세계 최초로 개발되어 주목받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검역본부)는 주식회사 옵토레인과 공동 개발한 이 바이오 반도체 기반 구제역 분자 진단키트가 동물용 의료기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진단키트는 기존 진단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어 신속한 현장 대응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제역은 소, 돼지 등 발굽이 짝수로 갈라진 우제류 동물에 감염되는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고열, 수포, 폐사 등 심각한 증상을 유발해 축산업에 큰 피해를 초래해 왔다. 국내에서도 지난 3월부터 4월까지 전남 지역에서 발생해 큰 피해를 줬다.
검역본부가 3년간의 공동 연구 끝에 개발한 이 진단키트는 기존 진단법이 가지고 있던 여러 단점을 보완했다. 먼저 기존 구제역 진단은 유전자 추출 등의 과정을 거쳐 실험실에서 최소 8시간에서 최대 24시간까지 소요됐다. 하지만 소형화된 이 키트를 사용하면 현장에서 약 2시간 이내에 진단이 가능하다. 또 실험실에서의 유전자 추출 과정 없이 현장에서 바로 분석할 수 있어 현장 방역의 속도를 높였다.
또한 상보형 금속 산화 반도체(CMOS) 광학 센서 기반의 실시간 유전자 증폭 기술이 적용되어 기존 진단법 대비 민감도가 최대 8배까지 높아져 저농도 바이러스도 빠르게 식별할 수 있다. 이와함께구제역과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는 세네카바이러스(SVV)와 돼지수포병바이러스(SVDV) 등 6종의 바이러스를 동시에 감별하는 다중 진단 기능까지 갖췄다. 개발된 진단 키트를 통해 얻은 결과는 현장에서 데이터 공유 기능을 통해 가축방역기관에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즉각적인 방역 조치에 활용될 예정이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세계 최초의 바이오 반도체 기반 구제역 진단키트 개발은 국내 축산 방역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쾌거"라며,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 진단으로 구제역 확산 방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