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전례 없는 감염병 위기 속에서 국민의 불안과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질병관리청의 '위기소통' 전략과 교훈이 한 권의 책으로 엮여 나왔다.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코로나19 대응 당시 위기소통을 담당했던 인력들의 실제 경험과 개선 방향을 담은 인터뷰형 기록 책자, 「코로나19 소통의 기록」을 31일 발간했다.
이번 사례집은 코로나19 위기 극복에 참여한 대응 인력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기반으로, 축적된 소통 경험을 총 18개 주제로 생생하게 담아냈다. 특히, 위기 상황에서 국민 신뢰를 쌓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던 주요 소통 활동들이 자세히 기록되었다. 먼저 매일 같은 시간에 최신 정보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며 "정부가 아는 정보를 거의 실시간으로 국민에게 있는 그대로 공개한다"는 신뢰를 쌓아 시민들이 허위정보에 흔들리지 않게 했다.
또 하루 최대 1만 7천 통의 문의에 응답하며 국민의 불안을 달랬던 '1339 콜센터'의 위기와 극복 경험을 다뤘다. 또한 허위·조작 정보에 맞서 대응했던 인포데믹 소통 전략과 백신 도입 관련 소통 등이 포함됐다. 이와함께 고립된 국민들을 위로하고 연대를 독려했던 ‘매일의 마무리 발언과 감성 메시루고 있다.지’의 중요성을 기록했다. 또 기업, 포털 등 민간과의 협업 캠페인 , 심리방역 , 언론과의 소통 등 다각적인 주제를 다뤘다.
질병관리청은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 감염병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위기소통 5가지 원칙인 '신속·정확·투명·공감·신뢰'를 더욱 견고히 할 계획이다. 사례집은 단순한 과거 기록을 넘어, '다음 팬데믹 상황을 위한 제언'을 담아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주요 제언 사항으로 ▲일관된 메시지(One-Voice) 체계 강화 ▲디지털 기반 인포데믹 대응 및 민간협업 체계화 ▲정책 설계 단계에 국민소통 '사전 청취' 반영 ▲국민 인식 조사를 정책 방향 조정의 '나침반'으로 활용 ▲위기소통 전담조직 강화 운영 ▲'청(廳)'은 '들을 청(聽)'이라는 철학 제도화 등이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미래 감염병 재난 발생 시 국민의 불안과 혼선이 최소화되도록, 다각적인 소통 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