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7월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에 대해 정부가 재난대책비 246.2억 원을 긴급 투입한다. 피해가 완전히 집계되기도 전에 우선 교부를 결정한 것은 이례적인 조치다.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광주, 경기, 충북, 충남, 전남, 경북, 경남 등 7개 시·도에 대해 신속한 피해 복구와 지원이 시급하다고 판단, 재난대책비를 선(先)지급한다고 30일 밝혔다.
재난대책비는 주택 침수, 인명 피해 등 사유시설 재난지원금 지급과 공공시설 복구비로 사용되는 예산이다. 일반적으로는 피해 규모가 확정된 이후 복구계획에 따라 일괄 지원되지만, 이번에는 전국 단위 호우 피해가 극심해 선지원 후정산 방식으로 전환했다. 행안부는 지자체 피해조사를 토대로 각 시·도별 필요 금액을 산정했으며, 인명피해 구호금, 소상공인 재난지원금, 공공시설 복구 설계비 등 시급성이 높은 항목부터 우선적으로 예산을 집행할 방침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장관은 “지자체별로 주택 침수피해 이재민, 피해 소상공인 등에 대한 재난지원금을 신속하게 지급하고, 응급 복구와 항구복구 준비에도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하면서, “7월 27일부터 추진 중인 중앙합동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 및 복구계획 수립 등도 속도감 있게 추진하여 피해지역 지원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