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행정안전부는 연중 강수량이 가장 많은 7월을 앞두고, 빗길 운전 중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점을 고려해 운전자들에게 교통법규 준수와 감속 운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근 5년간(2020~2024년) 교통사고 통계를 분석한 결과, 7월의 평균 강수일수는 15.8일로 한 달의 절반 이상이 비가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기간 빗길 교통사고도 월평균 3,029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고는 주로 오전 10시 이후 증가해 오후 9시 전후에 하루 중 가장 많은 사고(13%)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주요 사고 원인은 ▴전방 주시 태만 등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55%)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그 외에도 ▴신호위반(13%), ▴안전거리 미확보(10%)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은 빗길 주행 시 평상시보다 더 높은 수준의 안전의식과 운전 습관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야간 운전 중 비가 올 경우, 빛 반사로 도로 경계 구분이 어려워지고, 물웅덩이·포트홀·노면 이물질 등 돌발 위험을 식별하기 어려워져 사고 위험이 커진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도로가 젖은 경우 제한속도의 20%를 감속, 폭우로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일 경우에는 50% 감속하는 것이 안전운전에 필수적인 조치로 제시됐다.
행정안전부는 빗길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운전자들에게 ▲교차로 통과 시 속도를 줄이고, 특히 우회전 시 전방 신호가 적색이면 반드시 일시정지 후 보행자 유무 확인 ▲수막현상에 대비해 감속 주행 및 평소보다 긴 제동거리를 고려한 운전 ▲야간에는 급제동을 피하고, 시야 확보가 어려운 만큼 방어 운전 철저 ▲창문 김서림, 빗물 등으로 인한 시야 제한 시 휴대전화 사용 등 주의력 분산 행위 금지 등을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지만석 예방안전제도과장은 “비 오는 날에는 도로가 미끄럽고 돌발 상황이 많아 교통사고 위험이 높아진다”라며, “빗길에서는 교통법규를 더욱 철저히 지키고, 평소보다 속도를 줄이며 양보 운전을 실천해 모두의 안전을 지켜주시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