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질병관리청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감염병 검사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18일 충북 청주에서 전국 17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과 함께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번 행사는 감염병 위기 대응의 첫 단추인 ‘검사’ 체계가 최근 여러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허점이 드러났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중앙과 지방 간 협력을 재정비하려는 움직임으로 읽힌다.
행사의 1부에서는 감염병 검사 대응 과정에서 공헌한 기관 및 유공자에 대한 포상이 진행됐다. 특히 지난 7월 충남 지역 집중호우 당시 주변 권역 보건환경연구원과의 협력을 통해 빠르게 검사업무를 정상화한 충청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의 사례가 조명됐다. 이미 여러 차례 현장에서 인력·시스템의 과부하가 지적돼 왔던 만큼, 정부가 ‘우수사례’로 제시한 이 협력 모델이 표준화될지 주목된다.
이어진 2·3부 세션에서는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국가표준실험실 체계를 지방 연구원에까지 확대 적용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정부는 이 표준화 제도가 실제 현장에서 검사 신뢰성과 속도를 높이는 데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백일해 등 반복된 감염병 파동 속에서 지역 간 검사 역량의 편차가 드러났던 만큼, 단일 기준 마련의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지적돼 왔다. 심포지엄 외에도 질병청과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장들은 별도 간담회를 갖고 검사 현장의 애로사항과 협력 시스템 보강 방안을 논의했다. 현장에서의 피로도와 과부하를 해소하지 않는 이상 ‘신속·정확’이라는 목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이 반복적으로 제기됐다고 전해졌다.
임숙영 질병관리청 차장은 보건환경연구원을 “위기 때마다 최전선에서 대응한 파트너”라고 평가하며 중앙과 지자체의 지속적 협력을 강조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 또한 “감염병 대응의 출발점은 검사”라며 검사 체계의 신뢰성 확보가 국민 건강의 핵심이라고 못 박았다. 그는 이번 심포지엄이 국가 감염병 검사 체계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