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정부가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2018년 배출량 대비 최소 53%에서 최대 61%까지 감축하는 방향으로 확정할 전망이다. 이는 당초 목표했던 2030년 감축률(40%)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감축 주체인 산업계의 부담 가중이 불가피해 논란이 예상된다.
환경부 기후국은 11월 10일 발표한 자료를 통해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18년 대비 53%에서 61% 범위 내에서 설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소 목표는 2018년 배출량 대비 53% 감축, 최대 목표는 2018년 배출량 대비 61% 감축이다. 정부는 현재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 사회의 기후 대응 압력과 국내외 기술 개발 속도를 고려할 때, 2035년 감축 목표를 최소 53%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높은 감축률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제시하는 1.5°C상승 제한 경로를 이행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다.
감축 목표가 상향될 경우 가장 큰 부담을 안게 될 것은 에너지와 산업 부문이다. 53% 이상의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감축 기술 도입과 함께 에너지 전환 속도를 대폭 높여야 한다. 특히, 철강, 석유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에서는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수소 환원 제철 등 상용화에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한 기술 개발 및 확보가 시급해진다. 정부는 관계 부처와 산업계, 전문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최종 목표를 확정하고, 이에 따른 부문별·연도별 감축 이행 로드맵을 수립할 예정이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