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기후위기 시대 '제1차 기후변화감시예측 기본계획', 10년 예측 시스템 개발 국민안전 기여

기사승인 2025.11.11  05:55:43

공유
default_news_ad1
article_right_top

기후위기가 일상이 된 시대, 정부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감시 및 예측 시스템을 구축해 국민 안전을 지키고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가속화한다. 기상청(청장 이미선)은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수립한 '제1차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 11월 10일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최종 확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기본계획의 핵심은 기존 지상 관측망 중심의 기후감시 체계(인프라)를 선박, 항공기, 위성 등을 활용한 3차원 입체 관측체계로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이는 기후변화 진단과 분석을 위한 감시체계 고도화의 일환이다. 특히, 온실가스 감시 요소에 이산화탄소, 메탄 외에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 공정에서 사용되는 할로겐화 요소를 추가하여 감시를 강화한다. 또한, 전지구기후관측체계에서 권장하는 핵심 기후변수를 적용하여, 약 100개의 한국형 핵심 기후변수를 선정하고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국제 수준의 기후감시체계를 완성할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남극(세종·장보고) 및 북극(다산) 과학기지에 관측망을 구축·운영한다.

기후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예측 정보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주력한다. 먼저 기존 1개월, 3개월까지 제공하던 기후전망을 1년에서 최대 10년의 미래 기후까지 예측할 수 있는 한국형 수치예보모델(KIM) 기반의 '국가기후예측시스템'을 개발한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기후예측기술을 적용하고, Exa-규모 컴퓨팅 전산과학 기반기술 개발을 통해 국가기후예측시스템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또 IPCC가 제시하는 새로운 온실가스 배출경로를 적용한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를 생산·제공하며, 이를 기반으로 전국 시·군·구 단위의 정교한 기후변화 예측정보를 생산·제공한다.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기후변화 영향을 감시·예측하고, 정보의 공동활용체계를 구축한다. 주요 농수산물과 임산물 생산 변화 예측, 산불·산사태 등 산림 재난 예측기술 개발 , 도심 홍수·가뭄 감시체계 고도화 , 감염병 매개체의 체계적 감시를 위한 통합감시망 운영 등을 추진한다.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 수치예보와 AI를 바탕으로 기상자원지도 및 바람, 일사량 예보를 고도화하여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국가 기후변화 감시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자체 및 공공기관에서 자료를 종합적으로 관리·분석 및 서비스할 수 있는 공동활용 체계 기반을 2027년까지 구축한다.

국제사회 기후위기 대응 노력에 동참하고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기후변화 감시·예측 관련 국제협력을 강화한다. 또한, 유엔기후변화협약에 한국형 핵심 기후변수 감시·관리 현황 보고서를 선도적으로 제출할 계획이다. 국민 인식 확산을 위해서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체감형 콘텐츠 개발과 미래세대 맞춤형 교육을 강화하고, 기후변화과학 교육사 양성기관 지정을 통해 생활 속 과학 지식 보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미선 기상청장은 "이번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국민과 재난관리기관, 지자체가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정밀한 감시와 예측정보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기본계획은 향후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및 국가 기후위기 적응 대책 등 정부 정책의 과학적 근거로 활용되어, 기후위기로부터 국민 안전을 지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정직기자

이정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set_new_S1N1
set_new_S1N3
set_new_S1N4
set_hot_S1N1
set_hot_S1N2
set_hot_S1N3
set_hot_S1N4
set_hot_S1N7
set_hot_S1N5
set_hot_S1N6
set_hot_S1N8
set_hot_S1N10
set_hot_S1N11
set_hot_S1N12
set_hot_S1N13
set_hot_S1N14
set_hot_S1N16
set_hot_S1N15
set_hot_S1N17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