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최근 대형 화재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 조달청(청장 백승보)이 공공건축물의 화재 안전성을 설계 단계부터 강화하기 위한 '화재 대비 공공건축물 설계검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공공건축물 설계검토 시 즉시 적용한다고 10월 22일 밝혔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조달청이 그동안 수행한 5,700여 건의 설계검토 사례를 장비 유형별로 분류하고 , 이를 연계한 199개 체크리스트 형태로 구성되었다. 주요 내용은 설계 단계에서부터 화재 위험요인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조달청의 ▲설계적정성 검토 과정에서 자주 지적되는 오류사항 ▲현장 여건을 반영한 시공 안전 및 유지관리성 강화 방안 ▲화재 조기감지 시스템 적용 등 화재 초기 대응 방안이 핵심이다.
조달청은 가이드라인 마련 과정에서 한국소방기술사회 등 관련 협회 및 민간 전문가와 워크숍을 개최하고, 자문위원 검토를 2회 실시하는 등 전문가 의견을 적극 반영했다. 조달청은 이 가이드라인을 조달청 누리집에 공개하고, 설계검토 자문위원 및 수요기관·설계사에 배포하여 설계 오류를 줄이고 화재에 대비한 공공건축물 안전을 강화할 예정이다. 조달청은 현재 200억 원 이상 대형 공공시설사업 및 30억 원 이상 국고보조사업에 대해 연간 13조 원 규모의 설계검토를 실시하고 있다.
권혁재 시설사업국장은 "화재에 대한 국민적 불안을 공공분야에서 선제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이번 설계검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히며 , "앞으로도 수요자 중심의 적극 행정을 통해 각종 재난 및 안전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 방안과 대응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