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지난 9월 30일 발생한 초유의 정부 정보시스템 장애 사태 이후, 시스템 복구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어 국민들의 불만과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10월 1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1차 회의를 열고 복구 방안을 논의했지만, 사태 발생 후 2주가 지난 현재까지 총 709개 장애 시스템 중 36.7%인 260개 시스템만을 겨우 복구하는 데 그쳤다.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1등급 시스템 40개 중 75.0%인 30개 시스템이 복구되었으며, 이에는 우편정보 ePOST 쇼핑(우체국 쇼핑)과 나라장터 쇼핑몰 등 국민과 공공기관의 온라인 물품 구매 시스템이 포함된다. 또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 주민등록시스템, 정부24 핵심 민원서류 발급 기능(주민등록 등초본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 역시 정상화되었다. 하지만, 나머지 10개의 1등급 시스템과 2등급 시스템(총 68개 중 35개, 51.5% 복구)은 여전히 완전한 복구가 이뤄지지 않아 행정 마비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 특히 화재와 분진 피해가 심각했던 7-1 전산실 등의 시스템은 데이터 복구 후 대전센터 또는 대구센터에 신규 장비를 도입하여 복구할 예정으로, 완전 정상화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중대본은 서비스를 최단기간에 재개하기 위해 우선순위에 따라 복구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화재·분진 영향이 적은 전산실은 중요도에 따라 신속히 복구하고, 피해가 큰 시스템은 백업 또는 구(舊)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 700여 명의 복구 인력에 제조사 인원 80명(10월 11일 50명, 12일 30명 추가)을 투입하는 등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한 국민 불편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장애 발생 다음 날인 9월 30일 2,700여 건에 달했던 콜센터 상담 건수는 현재 일일 300건 내외로 감소했지만, 시스템 장애로 인한 생활 불편, 민원 신청 방법, 기한 연장 등 국민의 실질적인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각 기관의 대체 시스템 및 서비스 마련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윤호중 장관은 "중요 서비스부터 신속히 정상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밤낮으로 복구에 매달리는 직원들의 근무 환경을 세심하게 챙기겠다“고 밝혔다.
-이정직기자
이정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