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732억 쏟아붓는 경기도, 'AI·ASF' 방역종합대책 발표

기사승인 2025.10.14  01:26:32

공유
default_news_ad1
article_right_top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끊임없이 창궐하는 가축전염병등 '가축 재난' 사태를 막기 위해 경기도가 칼을 빼 들었다. 경기도는 향후 5년간 732억 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는 파격적인 방역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경기도는 지난 12일,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732억 원을 투입하는 ‘경기도형 가축방역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이달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 대책의 핵심은 기존의 실패한 방역 방식에서 벗어나, 예방 중심의 선제적 방역과 지역·민간 주도 자율방역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수치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경기도는 방역 예산 중 자체 사업 비중을 기존 17%에서 30%까지 대폭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고병원성 AI, ASF, 구제역 등 주요 전염병의 위협 앞에 중앙 정부의 지원과 사후 처리에만 의존하는 기존 방식으로는 축산 농가의 피해와 소득 불안정을 더 이상 막을 수 없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경기도가 이번 732억 원 투입으로 추진하는 방역 대책은 5대 전략과 18개 세부과제로 구성된다. 특히 눈여겨볼 만한 부분은 '빅데이터·AI 기반의 스마트 방역체계' 도입이다. 이를 통해 고위험 지역과 농가를 차등 관리하고, 민간 방역 인력 및 병성감정기관과의 협업을 대폭 확대해 방역의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이강영 경기도 축산동물복지국장은 “경기도만의 맞춤형 방역 정책과 민관 협업을 통해 축산농가의 실질적 소득안정과 도민의 안전을 모두 지키겠다”며 “현장과의 소통을 바탕으로 방역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예방 중심의 선진 방역체계로의 전환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set_hot_S1N1
set_hot_S1N2
set_hot_S1N3
set_hot_S1N4
set_hot_S1N7
set_hot_S1N5
set_hot_S1N6
set_hot_S1N8
set_hot_S1N10
set_hot_S1N11
set_hot_S1N12
set_hot_S1N13
set_hot_S1N14
set_hot_S1N16
set_hot_S1N15
set_hot_S1N17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