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소방청(청장 허석곤)은 9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 약 6주간 ‘추석 명절 대비 화재예방대책’을 집중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긴 연휴로 인한 이동량 증가와 다중이용시설 이용 확대로 화재 위험이 높아지는 만큼, 대규모 인명·재산 피해를 막기 위한 선제 조치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집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추석 연휴 기간 전국에서 화재는 총 2,026건 발생했다. 이로 인해 10명이 숨지고 98명이 다쳤으며, 재산 피해는 약 199억 원에 달한다. 특히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가 늘어나면서 노후 아파트 등 주거시설의 관리 필요성이 강조됐다. 소방청은 이번 대책을 두 단계로 나눈다. 먼저 1단계(9월 19일까지)는 ‘화재위험요인 제거 기간’으로 정해 판매시설, 창고, 운수·숙박시설, 전통시장 등을 불시 점검한다. 비상구 폐쇄, 피난통로 적치, 소방시설 전원·밸브 차단 등 불법 행위를 집중 단속하고, 적발된 사항은 연휴 전까지 반드시 시정토록 한다. 2단계(9월 22일~10월 12일)는 ‘화재 예방 및 홍보 기간’으로, 요양원·요양병원·산후조리원 등 화재 취약 노유자시설을 대상으로 맞춤형 피난 계획을 지도한다. 또한 노후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기적 화재 예방 활동을 강화하고, 귀성길에 집을 비우는 주민들에게 충전기 전원 차단 등 생활 안전수칙을 안내한다.
국민 홍보도 강화된다. 소방청은 버스 단말기, 전광판, 언론·온라인 채널을 통해 안전수칙을 집중 홍보하고, ‘주택용 소방시설 선물하기’ 캠페인을 통해 가정 내 자율 안전망 확산에 나선다. 전통시장에서는 상인회·자율소방대 중심으로 영업 종료 전 점검과 심야 순찰을 강화한다.
홍영근 소방청 화재예방국장은 “올해 추석 연휴는 최장 10일로 어느 때보다 화재 위험이 높다”며 “최근 5년간 연휴 기간 화재 원인 중 부주의가 45.7%(962건)를 차지한 만큼, 국민 여러분께서 생활 속에서 작은 안전수칙만 지켜도 큰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주거시설과 전통시장에서의 안전 관리에 적극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