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행정안전부는 9월 1일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강릉 지역 가뭄 대책 회의를 열고 범정부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8월 30일 대통령이 강릉 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한 이후 첫 대책 회의다. 회의에는 국방·농식품·산업·환경부, 소방청,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자원공사 등 주요 기관이 참석했다.
소방청은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해 지금까지 소방차 70여 대를 투입, 2,500톤의 물을 공급했다. 앞으로 지원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군 역시 400여 대의 물탱크 차량을 긴급 배치해 급수 지원에 나선다. 환경부와 농식품부는 인근 저수지 활용, 댐 추가 운영, 해수 담수화 시설 설치 등 장기적 수자원 확보 방안을 검토했다.
정부는 이날부터 ‘범정부 강릉 가뭄 대응 현장지원반’을 운영한다. 행안부, 환경부, 농식품부, 국방부, 소방청, 강원도, 강릉시, 한국농어촌공사 등이 참여해 긴급 급수와 기부받은 생수 배분 등 현장 대응을 직접 총괄한다.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부는 물 부족으로 불편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을 위해 가용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가뭄에 대응하고 있다”라며, “나눔 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 동참해 주시길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이정직기자
이정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