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환경부는 접경지역 황강댐 무단 방류에 대한 뚜렷한 대비책이 없어, 실질적인 접경지역 홍수 인프라 대책 필요하다는 지적에 대해 임진강 접경지역의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해 노력 중이라 밝혔다.
환경부는 북한의 황강댐 무단 방류 위험에 대해 정부가 위성 영상과 필승교 수위 모니터링으로 상황을 주시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응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임진강 상류의 군남댐(저수용량 0.7억 톤)과 한탄강 상류의 한탄강댐(저수용량 2.7억 톤, 2016년 완공) 두 개의 댐을 활용해 홍수 위험을 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군남댐 방류량 조절을 통해 하류 지역 주민들의 대피 시간을 최대 15시간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체계를 보완했다고 밝혔다.
또한 황강댐의 방류가 확인될 경우, 정부는 접경지역 위기관리 매뉴얼에 따라 경보 방송, 하류 순찰, 상황 전파, 지자체 주민 대피 요청 등 다단계 조치를 가동해 주민과 행락객의 안전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환경부는 향후 관계 기관과 협력해 임진강 유역을 포함한 접경지역의 홍수 피해 예방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