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절기상 더위가 꺾이는 ‘처서(23일)’가 지났지만, 농촌 현장에는 여전히 폭염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낮 기온이 30~34도에 머무는 가운데, 노지와 비닐온실에서 일하는 고령 농업인들의 온열질환 위험이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한낮 농작업을 자제할 것을 강하게 권고하며, 특히 65세 이상 고령 농업인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기상청 ‘폭염 특별 관측’ 자료에 따르면 비닐온실 내부는 외부보다 평균 3도, 최고 3.9도 더 높아 체온 부담이 크게 증가한다. 단순히 자세에 따라서도 체감 온도가 달라, 쪼그려 일할 경우 서서 일할 때보다 평균 1.8도 더 높은 온열 환경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고령 농업인의 경우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져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경고한다. 하지만 폭염 위험성을 체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가족과 이웃의 정기적인 건강 확인과 예방 수칙 안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예방 수칙으로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 사이 농작업을 피하고, 비닐온실은 환기창을 열고 차광막을 설치해 그늘을 확보하는 것이 강조된다. 또한 작업 중에는 갈증이 없어도 15~20분마다 규칙적으로 미지근한 물을 마셔야 하며, 커피나 술 같은 이뇨작용 음료는 피해야 한다. 작업 중 어지럼증, 두통, 구토, 근육 경련 같은 초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에서 휴식을 취해야 하며, 증상이 지속되면 반드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 농촌진흥청은 이미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와 ‘자율점검 체크리스트’를 보급하고, ‘폭염 알림 배지’, ‘농작업용 냉각조끼’ 보급 시범사업 등을 진행 중이다. 내년에는 예방 활동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농업인안전팀 김경란 팀장은 “9월 기온도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라며 “논밭 같은 노지는 복사열 때문에 체감 온도가 훨씬 높을 수 있으므로, 당분간 한낮 농작업을 피하고 온열질환 예방 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