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가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폐열과 부산물을 다른 기업이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기업 간 자원순환 프로젝트’ 16건을 신규 선정했다. 올해 말까지 선정된 기업에 총 41억5천만 원의 예산이 지원되며, 프로젝트당 정부 지원 비율은 최대 70%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에는 폐합성수지(PET)를 고기능성 섬유소재로 재가공하는 프로젝트, 반도체·전자산업 폐기물(PCB, CMP 디스크)에서 금·은 등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사업이 포함됐다. 건설 현장에서 남은 폴리프로필렌 소재 그물망을 고부가 재생플라스틱으로 만드는 사업, 소각 과정에서 발생한 폐열을 스팀 형태로 인근 공장에 공급하는 사업도 지원 대상이다. 산업부는 2018년부터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기업 간 자원순환 프로젝트 90건을 발굴·지원해 왔다. 그 과정에서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폐목재를 바이오 고형 연료로 가공해 발전사에 공급하고, 이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성과를 인정받는 등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산업부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제조업이 발달한 우리나라는 다양한 산업의 공급망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만큼 기업 간 자원순환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면서, “경제도 살리고 기후도 살리는 순환경제 정책을 적극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정직기자
이정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