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2025년 7월, 전국은 폭염·열대야·국지성 집중호우가 뒤섞인 극단적인 기상 이변에 시달렸다. 기상청은 8월 5일 발표한 월간 기후 분석을 통해 올해 7월이 1994년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더웠다고 공식 발표했다. 기상청(청장 장동언)에 따르면, 2025년 7월 전국 평균기온은 27.1℃로, 평년 대비 2.5℃ 높았고, 작년보다도 0.9℃ 상승했다. 이는 관측 사상 두 번째로 높은 7월 평균기온이며, 폭염일수(14.5일)와 열대야일수(6.7일) 모두 최상위권을 기록했다.
7월상순, 북태평양고기압의 조기 확장으로 이미 6월 말부터 시작된 무더위는 7월 초까지 지속됐다. 7월 상순 평균기온은 28.2℃(역대 1위), 일부 지역은 40℃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7월 8일, 경기도 의왕·광명 등에서는 폭염의 상징적 기준선인 40℃를 넘겼다. 7월 하순, 북태평양고기압에 티베트고기압까지 겹치면서 맑고 뜨거운 날씨가 이어졌고, 여기에 태풍(프란시스코·꼬마이)의 간접영향으로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며 전국을 달궜다. 푄 현상까지 겹쳐 수도권은 38℃ 이상, 서울은 9일 연속 폭염·열대야가 지속됐다.
전국 평균 폭염일수는 14.5일로 역대 3위. 특히 해발 772m 고지대인 대관령에서도 사상 처음 폭염(7월 26일)이 기록돼, 기후 이변의 심각성을 보여줬다. 전국 62개 기상 관측지점 중 절반에 해당하는 31개 지점에서 한 달 절반 이상 폭염이 발생했다. 서울은 7월 동안 열대야일수가 무려 23일로, 1908년 관측 이래 가장 많은 열대야가 발생했다. 인천(22일), 청주(21일), 목포(21일) 등 전국 8곳에서 열대야 극값이 갱신됐다. 7월 전국 강수량은 249.0mm로 평년 수준이었으나, 96%가 중순(7.16~7.20)에 집중됐다. 이 기간 동안, 기압골과 북태평양고기압 사이에서 덥고 습한 공기가 유입되며 총 161건의 호우 재난문자가 발송됐다. 7월 우리나라 주변 평균 해수면 온도 역시 24.6℃로, 최근 10년 중 가장 높았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올해 7월은 폭염과 열대야가 이례적으로 빨리 시작되고 중순에는 집중호우, 이후 다시 극심한 무더위가 연일 이어지며 큰 피해와 어려움을 겪었다.”라며, “이번 주에 또다시 많은 비가 예상되는 가운데, 기후변화로 기후변동성이 커지고 여러 극한현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상황에서, 기상청은 이상기후 현상을 빈틈없이 감시하고, 기상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기상재해로부터 국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정직기자
이정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