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산불 대응이 격상됐다. 산림청(청장 임상섭)과 국방부가 9일 발표한 공동 대응 방안은, 극한기상·야간·대형산불 상황에 맞선 군-산림 공동 작전 체제의 본격 가동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경북·경남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을 계기로, 두 기관은 산불을 ‘재난이자 안보상황’으로 규정하고, 초기 단계부터 군 자산을 우선 투입하는 구조로 협력 체계를 전환했다. 우선 헬기 40여 대를 즉각 투입 전력으로 편성하고, 추가 투입이 가능한 예비 전력도 사전에 준비한다. 헬기 조종사들에게는 물 투하 실전 훈련이 실시되며, 산림청은 전문 교관을 파견해 훈련의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양 기관은 지난 4월, 대형산불 공동 대응을 위한 ‘관·군 산불진화 협업 협의체’를 출범시켰으며, 11차례에 걸친 실무 회의와 현장 실사를 통해 실행 계획을 구체화했다. 이 과정에서 미국산 공중진화 시스템(MAFFS) 도입을 확정했다. 이 시스템은 공군 수송기 C-130J에 물탱크를 장착해 대형산불에 대응하는 공중진화 장비로, 2027년 2월 도입되어 시범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한 극한 기상 시 야간 산불 상황에서 진화작업에 필요한 ‘화선(불길 위치) 정보’를 군의 정찰 자산으로 지원받기로 하면서, 야간 대응 능력도 대폭 강화된다. 산림청과 국방부는 이번 공동 발표를 통해 행정안전부, 소방청 등과 함께 ‘범정부 산불진화자원 운용협의체’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렸다. 이는 헬기 자원을 통합 운용하는 재난 대응 컨트롤타워로, 대형재난 대응 시 장비·인력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한 범정부 체계다.
이용권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은 “대형산불진화 대응력 강화를 위해 군이 보유한 안보 자산을 산불 진화 및 감시자원으로 활용하는 데 양 기관이 선제적으로 협업한 결과로, 범정부 차원의 통합관리 및 상호 지원의 모범 사례다.”라며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갑수 국방부 군수관리관은 “산불이 재난안보상황임을 인식하고, 재난발생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며, “국방부는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정부차원의 재난 대응 능력 강화와 체계 개선에도 지속적으로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