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소방청(청장 허석곤)은 7월 4일 전국에 화재위험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20조에 따라, 기상특보와 연계한 선제적 대응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됐다.
이번 경보는 6월 29일 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이후, 7일 이상 지속된 극심한 무더위로 인해 화재 발생 건수가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소방청에 따르면 폭염특보 발효 전 10일(6월 19일-28일) 동안 전국 화재 발생 건수는 1일 평균 71건이었지만, 특보 발효 후(6월 29일-7월 2일)에는 평균 98건으로 38%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름철(6~8월) 화재는 최근 5년간 연평균 8,618건으로 연간 전체 화재의 약 22.5%를 차지했으며, 이 중 전기적 요인이 원인인 경우가 평균 30%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냉방기기 사용 급증과 노후 전기설비의 과부하 현상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소방청은 지난 6월 24일과 7월 2일 부산에서 발생한 노후 아파트 화재 두 건 모두, 전기멀티탭 과부하가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 중 한 사건에서는 자력 대피가 어려운 어린이 4명이 목숨을 잃는 참사가 발생해 전국적인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전례에 따라 소방청은 ▲화재위험경보 ‘경계’ 발령 : 전국 일괄 발령(7월 4일 10시 기준) ▲국민 안내 강화 : 재난방송 및 긴급 문자 발송, 전기화재 예방수칙 홍보 ▲ 노후 공동주택 집중 관리 : 중점관리대상 및 노후 아파트 안전관리 강화 ▲ 유관기관 협조체계 강화 : 지자체 및 전력기관 등과 공조 대응 등 4가지 대응 조치를 즉각 시행한다.
홍영근 소방청 화재예방국장은 “지속되는 폭염 속에서 냉방기기 과다 사용과 노후 전기설비의 결합은 전기화재 위험을 급격히 높이고 있다”며 “멀티탭 과부하, 문어발식 전기 사용 등은 반드시 피하고, 사용하지 않는 전자기기의 전원은 콘센트에서 분리하는 생활습관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화재위험경보 발령을 계기로 가정과 사업장의 화재 안전을 점검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