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발생한 폐수가 남측으로 유입됐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7월 4일부터 강화도 및 한강하구를 포함한 10개 정점에 대해 ‘관계부처 합동 특별 실태조사’에 착수한다.
이번 조사는 7월 3일(목) 정부가 긴급 관계부처 회의를 열고,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실효적 대응책으로 결정된 사안이다. 조사는 원자력안전위원회, 해양수산부, 환경부가 공동으로 수행하며, 과거보다 규모와 범위가 대폭 확대됐다. 2019년에는 6개 지점을 대상으로 우라늄 단일 항목만 조사했던 데 반해, 올해는 조사 지점을 10개로 늘리고, 우라늄뿐만 아니라 세슘, 카드뮴 등 방사성 물질 및 중금속까지 포함하는 전방위 오염 정밀조사로 확대됐다. 여기에 국방부와 국가정보원까지 참여해 북한 핵 관련 동향을 종합적으로 감시·분석하는 체계가 작동 중이다.
조사 대상 지역은 북한에서 흐르는 예성강과 가장 가까운 강화도 일대와 한강 하구 수역으로, 북한발 오염물질이 민감하게 유입될 수 있는 사실상 남북 접경의 수질 방어선이다. 분석은 약 2주간의 정밀 실험을 거쳐 결과가 공개되며, 한 차례 조사를 넘어 매월 정기 감시체계 구축도 함께 추진된다. 정부는 유관기관과 협조해 북한 우라늄 정련공장 등 북한의 핵 활동 전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련 정보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 조사에 대해 "일회성 대응이 아닌 지속 가능한 감시 체계를 통해 국민 건강과 생태계 보호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회의를 주재한 통일부 통일정책실장은 “북한 핵 관련 활동이 주변 환경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과학적 분석과 즉각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