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행정안전부와 산림청은 가을철 산불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0월 23일(목) '2025년 가을철 산불 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공동 개최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10월 31일~11월 1일)를 앞두고 산불 대비 태세를 확립하고자, 산림청은 산불조심기간을 당초 11월 1일에서 10월 20일(월)로 앞당겨 시행 중이다.
이날 김인호 산림청장 주재로 진행된 회의에는 행정안전부, 국방부, 소방청 등 중앙부처와 17개 시·도를 포함한 총 35개 관계기관이 참석해 가을철 산불 방지를 위한 기관별 대책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최근 10년간 가을철 산불조심기간(11월 1일~12월 15일) 동안 연평균 39.4건의 산불이 발생하고 13.9ha의 산림 피해가 발생하는 등 가을은 단풍과 등산객 증가로 산불 위험이 높아지는 시기다. 이에 산불 주무 부처인 산림청은 앞당겨진 산불조심기간(10월 20일~12월 15일) 동안 산불방지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하며, 지역별 위험도를 고려해 진화 헬기를 전진 배치하는 등 총력 대응을 예고했다. 총괄 부처인 행정안전부는 정부 역량을 총결집해 예방과 신속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산불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관 간의 긴밀한 협조를 당부했다.
회의에서는 기상청의 가을철 기상 전망 , 국방부의 군 헬기 산불 진화 지원대책, 소방청의 산불진화 기능 강화대책 , 복지부의 안전취약계층 거주시설 보호대책 , 농진청의 영농부산물 소각방지 파쇄 지원대책 , 그리고 기후부의 전력시설 주변 가연물 제거 방안 등 주요 기관별 대책이 발표되고 논의되었다.
김인호 산림청장은 "지구온난화로 산불이 연중화, 대형화되는 추세라 산림청만의 힘으로는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고 밝히며, "행정안전부를 비롯한 각 기관의 협력에 감사드린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산불 위험에 철저히 대비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