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재난·안전 대응 체계가 여전히 파편화돼 있다는 지적 속에, 행정안전부가 인공지능(AI)을 전면에 내세운 통합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행안부는 17일 ‘AI 기반 국민 안전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올해 안에 대국민 재난·안전 서비스 통합 창구인 ‘국민안전24’를 개통하겠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국민이 재난 정보를 확인하거나 신고를 하려면 최소 다섯 개의 플랫폼을 거쳐야 했다. ▴국민재난안전포털 ▴생활안전지도 ▴국민안전교육플랫폼 ▴안전신문고 ▴어린이놀이시설 관리 시스템이 모두 따로 운영돼왔다. 이는 국민 혼란을 가중시킬 뿐 아니라, 위기 상황에서 신속 대응을 가로막는 구조적 한계로 지적돼왔다. 새롭게 출범할 ‘국민안전24’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 창구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과거 피해 이력 ▴실시간 기상특보 ▴주변 대피소 위치를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상황별 행동요령도 즉시 제공한다. 단순 정보 전달이 아니라 개인 맞춤형 안전 가이드를 표방한 점이 특징이다.
AI 도입은 신고 시스템에도 반영된다. 행안부는 챗봇(대화형 AI)을 도입해 국민이 문자·음성·영상 방식으로 상담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신문고’에는 멀티모달 데이터 기능을 추가한다. 앞으로는 위험 현장을 촬영해 사진만 올려도 AI가 신고 문구를 자동으로 작성한다는 것이다. 이번 방안은 단순한 기술 실험이 아니라, 실제 재난 현장에서 반복돼온 문제들을 겨냥한다.
최근 몇 년간 발생한 국지성 폭우와 초대형 산불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된 점은 ‘정보 단절’과 ‘초동 대응의 한계’였다. 피해자가 어떤 위험에 노출돼 있는지,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알기까지 시간이 걸렸고, 이는 곧 인명 피해로 이어졌다. 행안부는 또 지역별 구급·재난 수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펌뷸런스’(소방펌프차와 구급차 동시 출동) 확대, 현장 경험과 이론을 겸비한 ‘구급전문교육사’ 양성 등 보완책도 함께 추진한다.
김용균 예방안전정책실장은 “AI 기반 재난·안전서비스 추진을 통해, 국민 개개인의 상황에 맞춰 필요한 재난·안전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정직기자
이정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