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서울시, 30년 넘은 하수관로 전수조사 착수, 지반침하 선제 차단 나선다

기사승인 2025.08.14  01:45:27

공유
default_news_ad1
article_right_top

서울시가 최근 연희동·명일동 등에서 잇따라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에 대응해 3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로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선다.

이번 조사는 전체 노후 하수관로 6,029km를 대상으로 하는 장기계획의 첫 단계다. 시는 지반침하 위험이 높은 D·E등급 우선정비구역 내 원형 하수관로 1,848km를 우선 점검한다. 관로 내부 CCTV 조사와 육안 점검으로 상태를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지보수 계획을 수립한다. 사각형 거나 차집관로(1,199km)는 별도 관리계획에 따라 정비된다. 1단계 조사는 2025년 8월부터 2027년 8월까지 24개월간 진행되며, 총 137억 원이 투입된다. 이후 2단계에서는 A·B·C등급 중 30년 이상 된 원형 하수관로(2,982km)에 대한 조사가 이어질 예정이다.

서울시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발생한 지반침하 228건 중 48.7%가 하수관로 손상에서 비롯됐다. 2023년 기준 서울 전체 하수관로(10,866km) 중 절반 이상(55.5%)이 30년 이상 된 노후 관로로, 잠재 위험이 크다. 시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하수도 관리에 대한 국비 지원 제도화를 재차 요구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서울시는 하수관로 개·보수 예산을 전액 시비로 충당하고 있으며, 명일동 지반침하 등 대형 사고 시에만 정부 추경을 통한 한시적 지원을 받았다. 시는 국비 지원 기준에 재정자립도뿐 아니라 노후관로 연장, 지반침하 이력, 지하시설물 밀도 등 실질적 위험도를 반영할 것을 건의할 계획이다.

정성국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이번 전수조사는 하수도 관리 패러다임을 ‘사고 후 대응’에서 ‘예방 중심’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시민 안전에 직결된 기반시설 관리에는 국가와 지방의 구분이 있을 수 없는 만큼 국비 지원 제도화를 정부에 적극적으로 건의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정직기자

이정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set_hot_S1N1
set_hot_S1N2
set_hot_S1N3
set_hot_S1N4
set_hot_S1N7
set_hot_S1N5
set_hot_S1N6
set_hot_S1N8
set_hot_S1N10
set_hot_S1N11
set_hot_S1N12
set_hot_S1N13
set_hot_S1N14
set_hot_S1N16
set_hot_S1N15
set_hot_S1N17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