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백중사리를 앞두고 정부가 전국 해안 침수 위험에 대한 비상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나섰다.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8월 8일, 국립해양조사원·인천연구원·충남연구원과 공동으로 ‘백중사리 대비 해안침수 예방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조차가 연중 가장 크게 변하는 백중사리(9월 8~11일)를 한 달 앞두고, 해안 저지대 침수 가능성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대응방안 위해 마련하기 위한 취지다.
세미나는 서울대 해양연구소의 ‘한반도 조석 특성’ 발표로 시작됐다. 이어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백중사리 피해사례와 현장조사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고, 국립해양조사원은 조위 관측 체계와 조석 기반 재해지도 구축 현황을 공유했다. 특히, 해안도시 대상 조위정보 서비스의 실시간성 향상과 예측 정확도 확보가 대응의 핵심 과제로 지적됐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단순한 이론이나 모델링 발표를 넘어서, 직접 피해를 겪은 현장의 사례가 집중 공유됐다. 충남 보령 오천항에서는 해수 범람 당시 초기 대응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각 연구기관은 지역별 맞춤형 재해지도 확대, 항만·저지대 설계조위 조정 등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오금호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은 “우리나라의 조석 특성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등 복합적인 위험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해안침수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