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기상청(청장 장동언)은 저고도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제공해온 기상서비스인 LAMIS(저고도 항공기 기상정보 서비스)를 전면 개편, 8월 1일부터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은 응급환자 이송, 산불 진화, 수색·구조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항공기의 기상 의존도를 반영한 조치다.
‘저고도 항공기’는 주로 고도 3km 이하에서 운항하는 헬기와 경항공기를 지칭하며, 대부분 조종사의 육안에 의존하는 시계비행 방식으로 비행한다. 낮은 고도에서는 가시거리, 구름 높이, 강수 등 작은 기상 변화도 비행 안전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밀한 기상정보가 핵심이다. 기상청은 이에 따라 기상관측 지점을 기존 100개소에서 370여 개소로 대폭 확대했다. 특히 산악지대 등 육안 관측이 어려운 지역의 기상정보 확보를 위해 군, 산림청 등 관계기관과의 협력도 강화했다. 새롭게 도입된 ‘날씨신호등’ 시각화 시스템은 도로의 신호체계처럼 기상 상태를 4단계(안전~위험)로 직관적으로 표출해, 조종사들이 빠르게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헬기 조종사 맞춤형 서비스인 ‘헬기운항 날씨 내비게이터’도 신규 제공된다. 이 서비스는 이륙지점부터 착륙지점까지의 경로상 날씨, 바람, 기온, 구름, 난류 등의 고도별 기상정보를 자동으로 정리해 표출한다.
특히 이번 개편은 닥터헬기 운항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 기상청은 국립중앙의료원과 협력해 8개 거점 병원과 전국 165개 응급환자 인계지점에 대한 상세 기상정보를 새롭게 제공하며, 응급환자 이송 가능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했다. 산불 진화 헬기를 위한 전용 기상지원 기능도 신설됐다. 헬기 경로와 산불 발생 지역 반경 20~60km에 대한 상세 기상자료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통합해, 진화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한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이번에 개편된 ‘저고도 항공날씨’서비스를 통해 헬기 조종사들이 보다 상세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상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이전보다 한층 더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헬기를 운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앞으로도 현장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항공기상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상청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