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최원호, 이하 원안위)가 해외직구 증가에 대응해 공항 수입 화물에 대한 방사선 감시를 강화한다고 9일 밝혔다. 최원호 위원장은 이날 인천공항본부세관 특송물류센터를 방문해 방사선 감시 활동 현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원안위는 현재 전국 공항과 항만에 152대의 방사선 감시기를 설치, 수입 화물이나 고철 등에 섞여 들어올 수 있는 방사성 물질의 국내 유입을 차단하고 있다. 최근 항공 특송물량과 전자상거래 해외직구가 급증하면서 공항 방사선 감시기의 역할이 한층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인천공항 내 방사선 감시기를 22대에서 27대로 확충하고, 해외직구 물품에 대한 감시율을 72%에서 85%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원안위는 2026년 방사능 의심 물질 감시를 위한 설치·운영 예산으로 34억 4,900만 원을 편성했다. 수입 물량 증가 추세에 맞춰 공항 감시망을 최우선으로 강화하고, 해외직구를 통한 방사성 물질 국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원안위는 2026년 방사능 의심 물질의 국내 유입 감시를 위한 감시기 설치·운영에 34억 4,900만 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으며, 앞으로도 수입 물량 증가 추세에 맞춰 공항 감시망을 최우선으로 강화해 해외직구 방사성 물질의 국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해 나갈 예정이다.
최원호 위원장은 “항만 화물과 달리 공항 해외직구 특송화물은 국민 생활 안전과 직결된다”며, “앞으로도 빈틈없는 방사선 감시로 국민 안전을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심해영기자
심해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