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정부가 소방 연구개발(R&D)의 투자 규모가 재난 위험 증가에 턱없이 못 미친다는 지적에 따라, 국방기술 이전과 자체 연구역량 확충, 소방산업 수출 지원을 핵심으로 하는 3대 강화 방안을 내놨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9월 3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국민 보호라는 국가 책임을 다하기 위해 소방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며 대책을 발표했다. 현재 소방 R&D 예산은 올해 305억 원으로 재난안전 R&D 전체의 1.4% 수준에 그치고 있다.
먼저 국방기술의 소방 현장 전용화다. 소방청·국방부·방위사업청이 구성한 협의체가 이미 근력강화 슈트, 고중량 드론, 수중 탐색 플랫폼, 플라즈마 살균기 등 10종의 국방기술 현장실사를 마쳤다. 올해 안으로 적용성이 높은 기술을 추려내고, 오는 2027년부터 본격 사업화에 착수한다. 국방-소방 공동연구도 확대해 비용 절감과 현장 활용성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또 소방청 자체 연구 역량 강화다. 정부는 2026년 소방 R&D 예산을 503억 원으로 대폭 늘리기로 했다.
기후위기 대응, 친환경 교통수단 사고 대응, 소방시설 화재 적응성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과제를 앞당겨 추진한다. 내년 완공 예정인 국립소방연구원 신청사는 첨단 실증·융합 연구 거점으로 활용된다. 여기서는 대원 안전장비 검증과 화재 성상 연구, 산·학·연 공동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뤄진다. 또한, 소방산업의 수출산업화다. 정부는 KOTRA, 무역통계진흥원, 소방산업협회 등과 함께 ‘소방산업 수출협의회’를 출범시켰다. 연구성과는 혁신제품 지정과 공공조달 연계로 이어지며, 소방산업체는 수출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받게 된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국민 보호라는 국가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각종 재난·사고 현장에서의 대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소방의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라며, “정부는 드론, 로봇, 센서 등 이미 검증된 첨단 국방기술을 소방 현장에 적극 이전 및 활용하고, 소방 연구성과가 산업 수출로 이어져 국가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관계부처가 긴밀히 협력하여 소방 R&D의 성과가 국민이 체감하는 현장 안전으로 이어지도록 끝까지 뒷받침하겠다”고 덧붙였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