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정비하다 죽는 일이 더는 반복돼선 안 된다는 절박한 메시지가 담긴 현장 점검이 지난 17일 울산 에쓰-오일 온산공장에서 펼쳐졌다. 고용노동부와 환경부는 이날 정유업계의 대정비 기간 중 발생할 수 있는 화재·폭발 등 치명적 사고를 막기 위해 합동 안전점검에 나섰다.
이번 점검은 단순한 의례가 아니었다. 정유업체들이 약 4~5년 주기로 실시하는 이른바 ‘대정비’ 기간은 수백 명의 협력업체 인력이 동원되고, 다수의 설비가 중단 및 재가동을 반복하는 고위험 시기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유해·위험물질을 다루는 대형 사업장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73건 중, 절반에 가까운 43.8%가 이 시기 정비·보수작업 중에 벌어졌다. 말 그대로 “사고는 정비 중에 터진다”는 게 통계로 증명된 현실이다.
현장을 찾은 고용노동부와 환경부는 이날 국장급 고위 관계자들이 직접 참여한 가운데, ▲안전작업절차의 실제 준수 여부, ▲작업 전 화학물질 제거 조치, ▲불꽃·정전기 등 점화원 제거, ▲화기작업 시 불티 방지책, ▲가스농도 측정 및 환기 상태, ▲소화설비 유지 관리, ▲비상조치계획 수립 등을 중점 점검했다. 무엇보다 이 현장은 단순한 점검이 아니라, 현장에서 땀 흘리는 노동자들의 생명을 직접 지키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관계부처는 현장에 화학사고 예방 현수막을 내걸고, 작업자들에게 실질적인 안전 수칙을 배포하며 캠페인 활동도 병행했다.
최태호 고용노동부 산재예방감독정책관은 “대정비 기간에는 다수의 협력업체가 함께 일하기 때문에 혼재작업이 많아지고, 설비 중지·재가동 시 화재·폭발 위험성도 높아진다.”라고 말하며, “특히, 최근 석유화학업계의 불황으로 인한 안전에 관한 투자 소홀로 산업재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우려가 있으며, 정유업체에서의 사고는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안전작업절차를 원·하청 모두 철저하게 준수하여 단 한 건의 사고도 발생하지 않도록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달라.”라고 당부했다.
박연재 환경부 환경보건국장는 “이번 합동점검을 통해 각 부처의 전문성을 융합하여 화학사고 예방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라며, “앞으로도 양 부처 간 협업을 강화해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업장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정직기자
이정직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