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정부의 심장부가 테러의 먹잇감이 된다면 어떻게 될까.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 대전청사관리소는 9월 15일, 정부대전청사 남문 일대에서 ‘유관기관 통합방호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단순한 모의가 아니라, 드론 공격·화학물질 살포·폭발물 테러 등 복합 위협을 가정해 실전 대응 수준으로 진행됐다.
훈련에는 대전경찰청, 32사단, 둔산경찰서, 둔산소방서 등 8개 기관 100여 명이 투입됐다. 경찰 헬기를 동원해 특공대가 현장에 긴급 전개하는 등 공중·지상 합동 대테러 작전이 펼쳐졌다. 시나리오는 치밀했다. 드론이 청사 상공으로 침투해 미상 물질을 살포하자, 군·경 합동 초동조치반이 출동하고, 청사 안티드론건으로 전파 교란(재밍)을 실시했다. 곧이어 32사단 화생방부대가 화학·생물학 물질을 탐지·제독했다. 추가 드론으로 발생한 화재는 자위소방대와 둔산소방서가 협력해 진압했다.
이어진 단계는 더 긴박했다. 테러범의 인질극과 폭발물 위협이 벌어지자, 경찰특공대가 헬기로 투입돼 신속 진압했고, 폭발물처리반(EOD)이 폭발물 제거를 맡았다. 정부대전청사는 14개 중앙부처가 입주한 ‘가급 국가중요시설’이다. 청사가 마비되면 국가 운영 전반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박형배 대전청사관리소장은 “테러 상황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유관기관과 협업해 신속하게 초기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이번 통합방호훈련을 통해 정부청사의 드론·대테러 실전 대응 역량을 강화해 유사시에도 정부 기능과 대국민 행정서비스가 원활히 유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