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_right_top
행정안전부가 2026년도 지역맞춤형 재난안전연구개발(R&D) 과제 6개를 선정했다. 국비 96억 원과 지방비 24억 원, 총 120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지원이다. ‘지역맞춤형 재난안전연구개발’은 지자체가 주도하고 산·학·연이 협업하는 방식으로 지역 특수 재난을 겨냥한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2020년 시작해 지금까지 41개 과제를 지원했다.
올해는 12개 시도가 34개 과제를 신청했으나 최종 6개만 선정됐다. 주요 내용은 △경기도 지반침하 위험관리 AI 시스템 △울산 배터리 화재 대응 융합감지·조기경보·자동 분리 시스템 △충남 축사 화재 대응 시스템 △전남 여객선 대피경로 지원 △전북 침수 대응 통합관리체계 △경북 자동 산불 대응 로봇 개발이다. 문제는 현장성이다. 배터리 화재, 침수, 산불 등은 이미 잇따라 피해를 낳고 있는 대표적 재난 유형이다.
홍종완 사회재난실장은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재난안전연구개발이 기존의 재난 대응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지자체의 대처 역량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한지현기자
한지현기자
<저작권자 © 재난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